(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논개 소개
논개 관련 문헌서적
≪의암기(義巖記)≫
작성자
오두인(吳斗寅)
작성일
2014.11.2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링크 복사

≪의암기(義巖記)≫
진앙성(晋陽城) 촉석루(矗石樓) 아래 남강(南江)가에는 가파른 바위 하나가 깊은 강물속에 솟아있다. 물에서 그 바위로 건너 가려면 한 걸음 밖에 않되지만 그 위에서 한 발짝이라도 헛디디면 깊은 강물 속에 빠질 수 있는 곳이다. 계사년(癸巳年)4)에 왜적(倭賊)이 침입(侵入)해 오자 창의(倡義)를 해 싸웠으나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성이함락되자 성 안의 백성들은 대부분 목숨을 부지하려 애썼지만 관기(官妓)논개(論介)만은 왜적을 불공대천(不共戴天)의 원수(怨讐)로 여겨 순국(殉國)키로 맹세(盟誓)하고 몸단장을 곱게 한 뒤 이 바위 위에 날아갈듯 우뚝 서 있었다. 여러 왜병(倭兵)들은 이를 바라보고 침을 삼켰지만 위태로운 지세(地勢)를 겁내 감히 접근(接近)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왜장(倭將) 한 명이 뛰어건너가 뭍으로 논개를 꾀어 내려하였다. 논개는 짐짓 미소를 지으면서 왜장을 맞아들인 뒤 그를 껴안고 강물에 빠져 죽었다. 이로 말미암아 후세 사람들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고 의롭게 여겨 마침내 ‘의암(義巖)’이라 두 글자를 새겨 그녀의 의열(義烈)을 정표(旌表)하였다고 한다.
의(義)롭도다! 이 바위여! 이 어찌 ≪주역(周易)≫에서 이른 바 ‘개우석(介于石)’이 아니면 위시(衛詩, ≪詩經≫)에서 이른 바 ‘불가전(不可轉)’이 아니리오. 그녀는 남쪽 고을 진주(晋州)의 한 창기(娼妓)로서 마침내 스스로 의(義)를 쫓아 죽을 곳을 얻어 이처럼 대장부(大丈夫)의 열렬한 사업(事業)처럼 처리(處理)함으로써 당시 여염(閭閻)집 부인(婦人)들을 부끄럽게 하였구려. 이는 참으로 이 나라의 깊은 사랑과 두터운 은택(恩澤)이 백성들로 하여금 감동(感動)하여 분발(奮發)케 한것이리라. 마치 남국(南國) 부인네들이 문왕(文王)의 인정(仁政)에 감화(感化)되어 강한(江漢) 땅의 풍속(風俗)을 바꾸게 한 것과 같지 않다고 한다면 어찌 이를 얻었다고 할수 있겠는가?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김해 부사(金海府使) 이모(李某)가 김창의(金倡義)5)와 함께 성을 지키다가 성이 함락되자 몇 명의 왜적을 두 팔에 끼고 이 바위 아래로 몸을 던져 죽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이렇게도 의열(義烈)이 많다는 말인가.
아! 계사년에서 지금의 갑자년(甲子年)까지 일주년(一周年)이 지났는데 이처럼 당당하게 의(義)를 위해 죽어간 곳을 아직까지 이쪽인지 저쪽인지 분별(分別)치 못하고 있으니. ‘예의(禮義)의 나라’라고 하면서 문헌(文獻)으로 증명(證明)할 수 없단 말인가? 참으로 한심(閒心)한 일일진져! 그러나 두 사람이 모두 의(義)를 위해 죽었으니 피차 마찬가지가 아니겠는가. 두 사람 다 확연(確然)하여 한 사람도 뺄 수 없다고 하겠으니 이 바위에 그들의 의열(義烈)을 함께 일컬어준들 무엇이 나쁘겠는가?
내가 신묘년(辛卯年) 10월 24일 진양(晋陽)에 다다르니 이 날이 마치 성이 함락 되었던 날이었다. 진주 사람들은 의례적(儀禮的)으로 이 날 강변(江邊)에 제단(祭壇)을 설치하고 의혼(義魂)들에게 잔(盞)을 드린다고 한다. 내가 이에 더욱 감동(感動)된 바 있어 마침내 촉서루에다 ‘의암기(義巖記)’라 글을 써 놓게 되었다.

晋陽之城 矗石之下 南江之濆有一峭巖直人波心 四面皆水也 自陸而入 僅容一步 而於其上也 若差跬步 便是不測處 在昔萬曆癸巳 黑齒之入寇也. 倡義使金千鎰 率敢死卒千餘人 入據晋陽城 以抗賊鋒 及其力竭城陷之日 城中之人 擧皆授首求活 而時有官妓論介者 誓不與賊俱生 視死如歸 凝粧靚服 飄然特立乎此巖之上 衆倭望見而悅之 懼其危而莫敢近 忽有一倭 挺身直進 將倭以出 妓乃伴笑而迎之 遂抱持其倭 投江以死枯後之人 哀而義之 遂刻義巖二字 以旌其義云.
義哉巖也 庸詎非大易所謂介于石 衛詩所謂不可轉者耶. 彼以南州之一娼妓 乃能從容取義得其死所 辨此烈烈如大丈夫事業 以愧夫當日之髥婦 苟非我國家深仁厚澤 能使人感發者 有若南國婦人 化文王之政 變江漢之俗 則何以得此乎.
或云 金海府使李姓人 與金倡義 共守此城 事去之後 以左右手挾數倭 投死于此巖下云. 又何義烈之多至此也.
噫. 癸巳于今甲子纔一周 而以如彼堂堂死義之所 尙未能辦其彼此 是何禮義之邦而 文獻之不足徵耶 殊可欠也 然而均是死於義 則彼亦一義也. 此亦一義也. 俱可謂確乎其不可拔者 何傷竝稱其義於此巖也.
余以辛卯首冬之旣望越八日戊辰 行到晋陽 適値昔年陷城之日 州之人 例於是日 設祭江邊 以酹義魂云. 余於此 尤有所感 遂書于矗石樓 以爲義巖記.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