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논개행사안내
논개像 추대
논개像 추대 포토 갤러리
제12대 의암주논개상 추대자
이름
문경란(文敬蘭)
직업
한국인권정책연구소 이사장
수상일
2018년 10월 11일
출생지
서울시 서초구
제12대 의암주논개상 추대자
주요경력
1990.6~2000.7 중앙일보 여성전문기자 겸 논설위원
2001.7~2002.8 미 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 객원연구원
2003.~2004.여성부 여성정책자문위원
2006.5.~2008.1 한국여기자협회 부회장
2008.2.~2010.11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
2011.3.~2016.12 이화여대 아시아여성학센터 연구위원
2012.1.~2017.4 아시아위민브릿지 두런두런 이사
2012.3.~2018.3 YWCA 연합회 실행위원
2012.11.~2015.11 초대 서울시 인권위원회 위원장
2014.1.~2017.4 (사)여성평화외교포럼 운영위원
2016.2.~현재 (사)유엔인권정책센터 이사
포상기록
2006. 제 2회 한국참언론인대상(여성부문 수상)
공적요지

제 12회 의암주논개상 후보로 추대된 문경란은 현재 (사)인권정책연구소 이사장과 장애인인권영화제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인권 전문가입니다. 주요 일간지(경향신문) 및 주간지(시사인)에 고정적으로 칼럼을 게재하는 오피니언 리 더입니다. 또한 한국사회의 성평등과 인권증진을 위한 민주시민 교육에 매진하는 교 육지도자이기도 합니다.

 

1. 문경란 이사장은 성평등 사회를 앞당긴 사람입니다.

문 이사장은 여성의 사회진출, 특히 중앙 일간지의 여기자가 매우 드물던 시절, 중앙일보에 입사해 약 20년 동안 사회부 기자, 여성전문기자 및 논설위원으로 맹활약 한 언론인입니다. 당시로서는 여성이 기자가 되는 그 자체만으로도 여성에게 가로막 혀있던 유리벽을 깨는 일이었고, 이는 곧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일이었습니 다. 문 이사장은 기자로 활약하는 동안 거의 대부분의 기자들이 관심을 갖지 않던 ◁ 호주제 폐지, ◁ 성희롱·성폭력·가정폭력 등 젠더폭력, ◁ 여성의 비정규직화, ◁ 돌봄 노동 및 공보육의 필요성, ◁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 ◁ 성평등 문화운동 및 사회적 트렌드 등에 대해 사명감을 갖고 선제적으로 보도함으로써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사회적 의제로 끌어올렸으며, 나아가 법제화와 제도화등 해결책을 이끌어내는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특히 호주제 폐지와 관련해, 타 언론사가 이에 대해 거의 보도하지 않거나 양비론 적 시각으로 보도할 때, 문 이사장은 호주제 폐지의 당위성과 역사적 의미 등에 대해 깊이 있는 기사를 수 년 간에 걸쳐 적극적으로 보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호 주제 폐지 입법안을 특종보도하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보도함으로써 호주제 폐지가 시대적 과제임을 전 국민에게 각인시키고 관련 민법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 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같은 공적을 인정받아 문 이사장은 한국 언론인 연합회가 수여하는 2006년 언론인대상(여성부문)을 수상했습니다. 문 이사장은 언론인으로서 마지막 2년을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는데 이때도 여성주 의적 시각을 가진 명쾌한 칼럼으로 성차별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한국사회 가 성평등한 세상으로 나아가는 길라잡이 역할을 했습니다.

2. 문 이사장은 소수자 및 약자 편에 서는 의로운 사람입니다.

중앙일보 여성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활약하던 문 이사장은 2008년 2월 국가 인권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임명되어 약 3년간 공직자의 길을 걸었습니다. 인권침해나 차별받는 국민들의 권리구제를 담당하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우리 사회의 힘없는 약 자와 소수자를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앞장섰습니다. 특히 문 이사장은 인권위 상임위원이 된 직후, ‘스포츠인권’ 이라는 전인미답의 영 역을 발굴해 스포츠 선수들의 인권향상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스포츠 분야에서 만연 돼 있던 선수 폭행과 성폭행, 학습권 침해 등의 문제를 간과하지 않고 주요한 사회적 의제로 제기해 스포츠, 청소년, 여성계 등 전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 다. 이 결과 대한체육회에 권리구제 시스템 신설, 최초의 전국 운동선수 및 코치 등 관련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 실시, 학습권 보장을 위한 각종 제도 개선 등의 큰 성과를 이끌어냈습니다. 스포츠계의 인권증진을 위한 노력은 이때부터 시작되었으 며, 운동선수의 인권보장을 위한 여러 정책과 제도, 인식개선 등은 문 이사장이 스포 츠인권 의제를 이끌던 시절 상당부분 이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문 이사장은 미혼모의 학습권 보장과 건강권 보장 등에도 앞장섰습니다. 미혼모 문제는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로서는 사회적으로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제입니다. 하지만 문 이사장은 미혼모가 인권의 사각지대에서 기본적인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하 는 소수자 중의 소수자이자 가장 약한 존재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외면하지 않았습 니다. 미혼모 또한 존엄한 존재로서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 가 학습권을 보장하고, 자녀와 함께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을 포함 한 통합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대안적 정책을 제시했습니다. 연구자, 청소년·미혼모 지원단체, 법률가 등과 손잡고 여성가족부 교육부 등 행정부 및 국회의원을 설득했습 니다. 그 결과 미혼모가 공부를 마치고 자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토대라 할 수 있는 미혼모 대안학교가 처음으로 설립되었고, 정부의 여러 미혼모 지원대책이 이행되었습 니다. 최근들어 정부가 적극적으로 미혼모 자립을 위한 정책에 앞장서는 것을 보면 문 이사장의 노력과 활동은 10년 정도 앞선 일이라 살 수 있습니다.

`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